매일성경

20221018(화) - "기뻐할 수 없는 승리" (삼하18:1~18)

압살롬의 반역은 예루살렘까지 차지했지만 어제 말씀에서 보았듯이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압살롬은 예루살렘을 차지했지만 이제 아히도벨이 아니라, 다윗의 사람 후새와 함께 합니다. 다윗은 비록 있는 곳은 요단강을 건너 요단동쪽이지만, 요새인 마하나님에 있고, 이 지역 사람들이 지지합니다. 특히, 암몬족속과 길르앗 사람 바르실래가 필요한 물품을 제공합니다. 이런 상황 가운데 전쟁은 길르앗 땅에서 벌어집니다. 그리고 오늘 말씀은 동서남북 어떤 전쟁에서도 승리했던 평소 다윗의 전쟁이야기 분위기를 그대로 보여줍니다.

1절 “이에 다윗이 그와 함께 한 백성을 찾아가서 천부장과 백부장을 그들 위에 세우고”, 특히 2절에 평소 군대를 지휘환 요압과 아비새와 함께 다윗에서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회복하게 한 용병대장 가드사람 잇대가 앞장섭니다. 그리고 다윗도 함께 출전하고자 하나, 아들과의 전쟁이고, 압살롬이 무리해서 요단강을 넘어온 것은 다윗을 잡기 위함이기에 더욱 만류합니다. 모든 전쟁의 분위기는 이미 다윗 쪽입니다. 그래서인지 5절 다윗은 부탁합니다. “나를 위하여 젊은 압살롬을 너그러이 대우하라 하니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모든 군지휘관에게 명령할 때에 백성들이 다 들으니라” 전쟁은 당연히 이겨야 하지만 다윗의 왕권도 지켜져야 하는 숙제가 생긴 것입니다.

그리고 다윗의 군대는 전략적으로 상수리나무가 많은 에브라임 수풀에서 전쟁을 합니다. 이 지역 상수리나무는 양이 앞발을 들고 아래 나뭇잎을 먹을수도 있다고 하니. 사람이 지나가는 것조차 불편한 곳입니다. 이 전쟁의 결과는 7절, 8절입니다. “거기서 이스라엘 백성이 다윗의 부하들에게 패하매 그 날 그 곳에서 전사자가 많아 이만 명에 이르렀고 그 땅에서 사면으로 퍼져 싸웠으므로 그 날에 수풀에서 죽은 자가 칼에 죽은 자보다 많았더라” 예측한대로  다윗의 승리입니다.

압살롬은 더욱이 노새를 타고 있었기에 그의 상징인 머리카락이 상수리나무에 걸려 달려있게 됩니다. 이제 전쟁에서 승리했고 남은 숙제인 압살롬을 후대하는 것만 남았습니다. 일반 군사들은 다윗의 뜻대로 하고자 했으나 압살롬과 다윗을 화해시킨 요압은 역시나 자기 마음대로 합니다. 요압은 처참하게 압살롬을 죽입니다. 처참하게 죽인 압살롬을 큰 구덩이에 던지고 큰 돌무더기를 쌓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압살롬이 묻힌 것이 아니라 다윗의 왕권도 묻힙니다.

오늘 마지막 말씀은 아들이 세명 있는데도, 아들이 없음을 한탄하며 세운 압살롬 기념비 이야기로 마칩니다. 잘못된 한탄대로 안되도록 했어야 했는데 스스로 잘못된 길을 선택하여 비참한 최후를 맞은 것입니다. 결국 우리에게 세상의 아름다움을 압살롬의 자리, 세상의 힘을 휘둘르는 요압의 자리가 여전히 있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압살롬과 요압의 자리가 있다면 "기뻐할 수 없는 승리"임은 분명합니다.

 

"기뻐할 수 없는 승리" (삼하18:1~18)

작성자
석광호
작성일
2022-10-18 07:06
조회
1113
전체 1

  • 2022-10-18 13:01

    다윗왕은 감성을 중요하게 여긴 반면
    요압은 냉철한 이성적 판단을 중요하게 여긴 것 같습니다.

    압살롬은 다윗왕에게나, 요압 자신에게나 모두 위험한 존재였습니다.
    그런 압살롬을 살리라는 다윗왕의 지시는 이성적으로 판단했을 때
    너무 위험한 발상이었고, 기회가 있을 때 압살롬을 처단한 것은 후환을 없애는 최선의 길이었을 겁니다.

    성경에 누가 더 잘 했고, 누가 더 못했다는 판단은 나오지 않지만
    일반적인 해석은 요압의 잘못을 지적합니다.

    이성적 판단을 중요 시하는 사회 조직에서 "요압"의 행동을 어떻게 판단할까요?
    다윗왕의 명령을 어겼다고, 그를 책망할까요?
    사람의 감성을 만져야 하는 교회 조직은 또 어떨까요?

    "감성"과 "이성"을 "다윗"과 "요압"으로 비교하는 것이 조금은 억지일지 모르나
    "감성"을 어찌 Touch 해야하나 또 한번 고민하게 됩니다.


온라인 헌금 계좌 안내
농협 100054-55-001851
(예금주 길가에교회)

*계좌이체시 헌금을 구분해주시고 주민번호 뒷자리를 써 주세요.

(예: 십일조헌금: 십+
     주민번호 뒷자리
     주일헌금: 주+
     주민번호 뒷자리
     감사헌금: 감+
     주민번호 뒷자리
     선교헌금: 선+
     주민번호 뒷자리)